부동산/부동산 뉴스 & 동향

토허제 지역 청약, 실거주 안 해도 괜찮을까? 규제 핵심 정리!

머니 크루즈 2025. 3. 31. 15:19

토지거래허가구역 내 청약, 실거주 의무에 변화 생겼다? 2025년 3월 말, 서울 강남3구와 용산구가 포함된 토지거래허가구역이 확대 지정되며, 이 지역에서 신규 아파트를 청약으로 분양받는 경우 실거주 의무가 부과될 수 있다는 점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청약 당첨자라도 '실거주를 안 해도 되는 경우'가 있으며, 규제가 아예 적용되지 않는 단지들도 있기 때문에 실수요자 및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 관련 포스팅: 토허제 해제 이후 서울 부동산 시장 분석


1. 실거주 의무가 생기는 조건은?

토지거래허가구역 내 아파트 청약 당첨자 중, 거래 허가 대상이 되는 경우 실거주 의무 발생
입주 시점부터 실거주 의무 기간: 기본 2년
단, 전매 목적이 아니라면 전세로 놓을 수 없음

📌 실거주 의무 예시

  • 강남구 분양 단지에서 분양권을 전매하려면 허가 필요
  • 실거주 의무 기간은 시세 대비 분양가 비율에 따라 달라짐

💡 TIP: "분양가가 시세의 80% 미만이면 3년, 80~100%면 2년의 실거주 의무가 적용됩니다."


2. 실거주 안 해도 되는 경우도 있다?

강남3구, 용산구 일부 단지는 '실거주 의무 제외' 대상
해당 지역은 규제지역이지만, 실거주 의무가 별도로 면제될 수 있음예: 서초구 방배동, 용산구 한남동 등지 일부 단지들

📌 왜 실거주 의무가 면제될까? 1️⃣ 분양가가 시세와 큰 차이 없는 단지
2️⃣ 재건축·재개발로 공급되는 일반 분양 단지
3️⃣ 외곽 지역의 경우 수요가 낮고 실거주 부담이 커 면제 가능성 있음

💡 TIP: "입지가 좋고 분양가가 높다면 오히려 실거주 의무가 면제될 수 있습니다."


3. 실거주 의무 배제된 단지, 수요자 관심 집중

실거주 부담 없이 분양권 전매 가능성↑
청약 시장의 투자 수요 유입 가능성
강남권 재건축, 고분양가 단지 중심으로 관심 확대

📊 실거주 의무 배제 가능성이 높은 주요 단지 (예상)

지역 단지명 예상 공급 시기

서초구 방배포레스트자이 2025년 하반기
서초구 아크로서초 2025년 하반기
강남구 자이더샵개포 2025년 말
송파구 잠실엘엘 2025년 말~2026년 초
용산구 래미안한남 2026년 초

💡 TIP: "투자 목적 청약을 고려한다면, 실거주 의무가 없는 단지를 선별하는 것이 관건입니다."


4. 규제 여부 확인하는 방법은?

해당 단지의 ‘분양가 vs 시세 비율’ 확인
토지거래허가 대상 여부 확인
청약 공고문에서 실거주 의무 명시 여부 체크 필수

📌 실수요자 & 투자자 체크리스트 1️⃣ 분양가 대비 시세 비율이 100% 이상인지 확인
2️⃣ 규제 지역 내에서도 거래 허가 여부 구분
3️⃣ 실거주 의무 면제 시, 전매 가능 시점도 반드시 확인

💡 TIP: "분양가가 높은 단지는 실거주 의무가 없을 수 있으므로, 청약 전략을 세울 때 확인이 필요합니다."


🔥 결론: 실거주 의무? 단지는 케이스 바이 케이스!

같은 규제 지역 내에서도 단지마다 실거주 의무 여부가 다름
투자자라면 실거주 의무 면제 단지 선별이 핵심
실수요자라면 장기 거주를 고려한 단지 선택이 중요

💡 관련 포스팅: 토허제 해제 이후 서울 부동산 시장 분석

💬 여러분은 실거주 의무 규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댓글로 의견을 나눠주세요! 😊